티스토리 뷰

[기록할 것]

 

1. 애널리틱스를 살펴보니 대략 6개월간 트래픽이 없음.

 

2. 앱엔진을 살펴보니 그 이전 부터 데모사이트의 장애가 있었음. ( 개발환경에서 빌드한 리소스들로 배포 되는 거라 생각했는데 결과를 보니 배포될 때 빌드를 하는 것이었나 봄, deprecated 된 모듈들로부터 장애 발생으로 추정 )

 

3. 그래도 appspot 도메인으로 접근 시 index page 정도는 살펴 볼 수 있었음. ( 오잉? )

 

4. nslookup 명령어로 dns 조회를 해보니 무응답 ( ? )

 

5. 호스팅케이알에 전화하여 자초지정을 설명

 

6. 혹시 인증메일 같은 것이 왔는데 응답하지 않았냐고 물어봄. 확인해보니 그런 메일 없

음.

 

7. 호스팅케이알 측에서 상위기관에 문의해본다고 함.

 

8. 통화 종료 후 2시간 이내에 6개월간 죽어있던 dns 서버 살아남.

 

9. 다시 호스팅케이알에 문의해보니 상위기관에서 원인파악중이라고 함. 심각한 사안같으니 원인 파악되면 전화 달라하고 다시 통화 종료. 그로부터 5일이 지났으나 여적 전화 안옴.

 

10. 위를 토대로 뇌피셜 가동해보면, 일정기간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으면 비용절감 차원에서 dns를 죽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합리적 의심.

 

11. 넘어가서 작년 초에 node8로 배포했던 앱엔진이 

* 앱 버전에서 지원 중단된 Node.js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 1일 이전에 업그레이드하시기 바랍니다.

라고 경고함.

 

12. 쿨하게 모든 모듈을 최신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했더니 웹팩도 버전 3대에서 4대로 변경됨.

별 생각 없었는데 deprecated된 클래스도 많고, 설정하는 방법이 상당히 많이 바뀜.

 

13. 먼저 UglifyJsPlugin es6 이슈

https://salgum1114.github.io/webpack/2019-04-22-uglifyjs-to-terser/

 

UglifyJsPlugin const 오류 해결 방법

최근 React Design Editor에 빌드 실패 관련 이슈가 올라왔다. 내용인 즉슨, production으로 빌드시 UglifyJsPlugin에서 Unexpected token: keyword «const»라는 오류가 발생하여 계속해서 빌드에 실패한다는 것이다.

salgum1114.github.io

14. 웹팩 4점 대로 넘어가는 것은 잠시 보류하고, 기존 코드 분석, 구글퍼블리셔툴바는 올 3월부터 갑자기 서비스종료했네...

'개발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생각하는 Node.js 의 가장 큰 장점!  (0) 2019.01.0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